본문 바로가기
교육및문학/성인공부자료

부동산학개론 기초단어7 탄력성

by 십잡스정보 2022. 4. 27.
반응형

부동산학개론 기초단어7 탄력성

탄력성이란 물리학에서 나온 개념으로 외부의 어떤 자극이 주어졌을때 그것을 원상태로 회복하는 힘을 말한다. 부동산학개론에서 말하는 탄력성은 '가격'이나 '소득'과 같은 외부 요인의 변화에 따라 물건을 구입하는 구매자들이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부동산학개론 탄력성이 노란 배경에 까만 글씨로 써있다
부동산학개론 탄력성

부동산학개론 수요의 가격탄력성

재화의 가격이 오르내림에 따라 '수요량이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하는 지'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수요의 가걱에 대한 민감도를 말한다.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수요량변화율을 가격변화율로 나누면 알 수 있다.

  • 가격변화율 10% 상승 → 수요량 변화율 20% 하락 = 2
  • 가격변화율 10% 상승 → 수요량 변화율 5% 하락 = 0.5
  • 가격변화율 10% 상승 → 수요량 변화율 10% 하락 = 1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 값은 신경쓰지 않고, 절댓값을 붙여 나타낸다. 

  • 수요량변화율 < 가격변화율 비탄력적 → 둔감 예) 생필품
  • 수요량변화율 > 가격변화율 탄력적 → 민감 예) 사치품
  • 수요량변화율 = 가격변화율 단위탄력적
  • 가격 변화와는 상관 없이 수요량이 고정되는 경우 → 완전비탄력적 → 완전둔감
  • 미세한 가격변화에 수요량이 무한히 크게 변화하는 경우 → 완전탄력적 → 완전민감

변화율의 계산은 (나중 값-처음 값)÷처음값×100%으로 나타낼 수 있다. 변화율은 분수값을 나타낸다.

 

수요의 가격탄력성과 부동산 임대료총수입

부동산 임대료총수입은 (소비자치출액, 기업의 총수입)이다. 간단히 말하면 가격(임대료)×수요량 이라고 할 수 있다.

 

수요의 가격탄력성 결정요인
  • 대체재가 많을 수록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커지고, 대체재가 적을 수록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커진다. 예를 들면 A란 물건을 대체할 것이 A밖에 없으면 A의 가격은 크게 변하게 되지만, A물건을 대체할 B, C, D 가 있다면 A 물건의 가격은 크게 변하지 못한다.
  • 기간이 짧을 수록 대체재들이 많이 만들어질 수 없기 때문에 가격이 비탄력적이고, 기간이 길어질수록 탄력적이게 된다. 
  • 재화의 용도가 다양할수록, 용도전환이 쉬울수록 탄력적이다.
  • 가격은 상품의 일상생활에 있어서 중요성과도 관련이 있다. 가격변화가 필수재는 보다 비탄력적인 데 비해, 사치재는 보다 탄력적으로 나타난다. 
수요의 소득탄력성과 교차탄력성

소득의 증가에 따라 수요가 증가하는 재화는 정상재라고 할 수 있고, 소득의 증가에 따라 수요가 감소하는 재화는 열등재라고 할 수 있다. X재 가격과 Y재 수요량이 같은 방향이라면 대체재, X재 가격과 Y재 수요량이 반대방향이라면 보완재라고 할 수 있다.

 

부동산학개론 공급의 가격탄력성

재화의 가격이 오르내림에 따라 '공급량이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 공급의 가격에 대한 민감도이다. 공급의 가격탄력성은 공급량의 변화율을 가격변화율로 나누면 알 수 있다. 공급의 가격탄력성에는 절댓값을 붙이지 않는다.

  • 공급량변화율 < 가격변화율 비탄력적 → 둔감 
  • 공급량변화율 > 가격변화율 탄력적 → 민감 
  • 공급량변화율 = 가격변화율 단위탄력적
  • 가격 변화와는 상관 없이 공급량이 고정되는 경우 → 완전비탄력적 → 완전둔감
  • 미세한 가격변화에 수요량이 무한히 크게 변화하는 경우 → 완전탄력적 → 완전민감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