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및문학/학생공부자료

천재교육 고등문학 1단원 풀 비린내에 대하여 학습활동3 슬견설

by 십잡스정보 2022. 4. 23.
반응형

천재교육 고등문학 1단원 풀 비린내에 대하여 학습활동3 슬견설

<슬견설> 고려 중기의 문인인 이규보가 쓴 설(設)이다. '설'은 한문학 양식의 한 갈래로, 사물의 이치를 풀이하고 자신의 의견을 덧붙여 서술하는 글이다. 이 글은 '이(蠫)와 '개(犬)'의 죽음을 화제로 삼아 '나그네'와 '나'가 대화하는 형식을 통해 주제를 드러내고 있다.

  • 갈래 : 고전수필, 한문 수필, 설(設)
  • 주제 : 선입견을 버리고 사물의 본질을 보아야 하며 모든 생명은 소중하다.
  • 해제 : 개(犬)와 이(蠫)의 죽음을 바라보는 시각에 대한 '나그네'와 '나'의 대화를 통해 교훈을 전달하는 수필이다. '개'와 '이'라는 대조적 예시를 통해 선입견을 버리고 사물의 본질을 올바르게 파악할 것을 깨우치고 있다.

다음은 '이(蠫)와 '개(犬)'의 죽음을 소재로 한 고려 시대의 글 <슬견설>의 일부이다. <풀 비린내에 대하여>와 비교하며 읽어봅시다.

어느 나그네가 나에게 이런 말을 했다.

"어제 저녁엔 아주 처참한 광경을 보았습니다. 어떤 불량한 사람이 큰 몽둥이로 돌아다니는 개를 쳐서 죽이는데 보기에도 너무 참혹하여 실로 마음이 아파서 견딜 수가 없었습니다. 그래서 이제부터는 맹세코 개나 돼지의 고기를 먹지 않기로 했습니다."

이 말을 듣고 나는 이렇게 대답했다.

"어떤 사람이 불이 이글이글하는 화로를 끼고 앉아서 이를 잡아서 그 불 속에 넣어 태워 죽이는 것을 보고 나는 마음이 아파서 다시는 이를 잡지 않기로 맹세했습니다."

그 나그네는 실망하는 듯한 표정으로,

"이(蠫)는 미물이 아닙니까? 나는 덩그렇게 크고 육중한 짐승이 죽는 것을 보고 불쌍히 여겨서 한 말인데, 당신은 구태여 이를 예로 들어서 대꾸하니 이것은 필연코 나를 놀리는 것이 아닙니까?" 라고 대들었다. 나는 좀 구체적으로 설명할 필요를 느꼈다.

"무릇 피(血)와 기운(氣)이 있는 것은 사람으로부터 소·말·돼지·양·벌레·개미에 이르기까지 모두가 한결같이 살기를 원하고 죽기를 싫어합니다. 어찌 큰 놈만 죽기를 싫어하고 작은 놈만 죽기를 좋아하겠습니까? 그런즉 개와 이의 죽음은 같은 것입니다. 그래서 예를 들어 큰 놈과 작은 놈을 적절히 대조한 것이지 당신을 놀리기 위해서 한 말은 아닙니다. 당신이 내 말을 믿지 못하겠으면 당신의 열 손가락을 깨물어 보십시오. 엄지손가락만이 아프고 그 나머지는 아프지 않습니까? 한 몸에 붙어 있는 큰 지절(支節)과 작은 부분에 골고루 피와 고기가 있으니 그 아픔은 같은 것이 아니겠습니까? 하물며 각기 기운과 숨을 받은 자로서 어찌 저놈은 죽음을 싫어하고 이놈은 좋아할 리가 있겠습니까? 당신은 물러가서 눈리를 대붕(大鵬)과 동일시하도록 해 보십시오. 연후에 나는 당신과 함께 도(道)를 이야기 하겠습니다."라고 했다.

  • 미물 : 인간에 대하여 보잘것없는 것이라는 뜻으로, '동물'을 이르는 말.
  • 지절(支節) : 팔다리의 뼈마디.
  • 대붕(大鵬) : 하루에 구만리를 날아간다는 매우 큰 상상의 새.

(1) 이 글을 통해 글쓴이가 말하고자 하는 교훈은 무엇인지 말해 봅시다.

  • 세상일을 인간의 관점에서만 생각해서는 안됩니다.
  • 모든생명은 소중합니다.

(2) 이 글의 글쓴이와 <풀 비린내에 대하여>의 글쓴이가 생명을 바라보는 공통적인 관점은 무엇인지 말해봅시다.

<슬견설>에서는 하찮은 미물로, 인간에게 해를 끼치는 존재로 취급받는 '이'도 생명이라는 점에서는 소중함을 말하고 있으며, <풀 비린내에 대하여>에서는 편리함을 추구하는 인간 탓에 희생되는 풀벌레도 소중한 생명이라는 인식을 드러내고 있다. 이처럼 두 작품의 글쓴이는 모두 인간이 아닌 생명을 중심으로 세상을 바라보고, 모든 생명이 차별 없이 소중하다는 생태주의의 관점을 보여 준다.

 

<풀 비린내에 대하여>, <슬견설>로 살펴본 문학의 윤리적 기능과 가치
  • <풀 비린내에 대하여> : 인간에게 안락한 도구가 다른 생명을 해칠 수 있다. <슬견설> : 모든 생명은 차별 없이 소중합니다.
  • 문학의 윤리적 기능과 가치 : 인간의 삶과 당대 사회에 대한 자각을 불러일으킵니다. 삶의 의미를 깨닫고 윤리 의식을 고양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합니다. 삶의 의미를 깨닫고 윤리 의식을 고양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했습니다. 독자의 윤리적 의식을 일깨우고, 윤리 의식을 발전시킬 수 있게 도움을 줍니다.
반응형

댓글